데이스쿨! 가을맞이 특별할인
분석시각화 대회 코드 공유 게시물은
내용 확인 후
좋아요(투표) 가능합니다.
Stop 패널티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score function이 stop과 change에 각각 패널티가 0.1만큼 부과되는데, stop에 패널티가 붙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만약 공정을 하지 않는 경우, 패널티를 피하기 위해 Stop 대신 'check -> process' 과정을 반복하면서 MOL_A와 MOL_B를 0으로 놓게 되면 score는 더 높게 나오겠지만 더 비효율적이지 않나요?
혹시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반도체 공장의 경우 라인이 멈추면 수천억 손해라고 하네요 ㄷㄷ
https://news.joins.com/article/23697473
앗 그렇군요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ㅎㅎ
데이콘(주) | 대표 김국진 | 699-81-0102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1-서울영등포-1704호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J120402025000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 익스콘벤처타워 901호
이메일 dacon@dacon.io |
전화번호: 070-4102-0545
Copyright ⓒ DACON Inc. All rights reserved
공장을 멈추고 재가동할 때 비용이 드는데요, 생산을 안하더라도 계속 가동하는 편이 더 효율적일 때가 있습니다. 재가동 비용이 페널티에 반영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자동차 운전시 브레이크가 연비를 나쁘게 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공정을 안 할 때 check -> process를 할 시 최소 28+98=126시간이 필요한데 페널티를 감수하더라도 stop으로 시간을 유연하게 조절하면 오히려 점수가 향상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change, stop에 페널티가 생각보다 적은 것 같아 이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