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I 데이터 경진대회 : 수원시 정책 아이디어 제안

아이디어 | 데이터 | 분석 | 정책

  • moneyIcon 상금 : 1,000 만원
  • 463명 마감

 

[듀듀끼끼] 수원시 교통 불평등·취약성 지수(TEVI) 산출

공동작성자

stroke
2025.08.27 17:00 30 조회 language

본 연구는 수원시의 교통 불평등·취약성을 다층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교통 불평등·취약성 지수(TEVI, Transport Equity & Vulnerability Index)」를 개발하고, 행정구 및 계층별로 산출·분석하여 맞춤형 정책 방향을 제시한 것입니다. 수원서베이(시민 체감), SRI 시민패널(대표성 있는 가중치), 교통사고 통계, 인구·소득 자료를 통합하여 위험, 접근성, 비용, 만족도 등 4개 차원에서 분석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분석 결과, 장안·팔달구는 높은 취약성을 보였으며 특히 팔달구는 중산층·여성·노인 계층에서 교통비와 안전 문제의 복합적 취약성이 집중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반면 권선·영통구는 종합 점수는 양호했으나, 권선구는 체감 품질, 영통구는 접근성과 비용 차원에서 한계가 드러났습니다. 또한 평균값에 가려진 내부 이질성을 드러내기 위해 계층별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득·성별·연령 집단에서 각각 다른 취약 양상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토대로, 구별 맞춤형 전략을 「새빛 안전길망(장안)」「새빛 안심이동망(팔달)」「새빛 생활누림교통(권선)」「새빛 초연결교통(영통)」으로 제안하였습니다. 특히 AI 기반 교통비 상한제, 스마트 보행안전 인프라, MaaS·DRT 결합 모델 등 기술·복지·참여가 융합된 교통복지 패키지를 구체화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단순 인프라 확충을 넘어, 경제적 부담 완화·접근성 개선·보행 안전 강화·체감 품질 향상이라는 네 축을 동시에 달성하는 수원형 교통복지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이는 수원시 2040 교통계획과 ESG 기반 교통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전국 지자체에도 적용 가능한 선례가 될 것입니다.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