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 Power Demand Forecast Contest

Algorithm | Structured | Regression | Public | SMAPE

  • moneyIcon Prize : 600만원
  • 858 Users Completed

 

안녕하세요. 데이터 제공 감사드립니다.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제공된 데이터 파일 중 ...

2019.10.18 17:21 5,265 Views

안녕하세요. 데이터 제공 감사드립니다.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제공된 데이터 파일 중 "인천_시간별__기상자료(16-18)_축소__7월1일.csv" 에는 7월 1일의 강수량, 풍속, 습도, 적설, 날씨, 전운량이 기입되어 있습니다. 위 설명 중 "7월 1일의 전력 수요량을 예측하기 위해는 7월 1일의 평균기온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이 됩니다." 라는 항목이 있는데 평균기온 외 데이터 (습도 등)에는 적용이 안되는 것으로 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로 불쾌지수는 온도와 상대습도의 함수라서 제공된 데이터만으로도 2016.7.20~2018.7.1까지 불쾌지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체감온도, 열지수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7월 1일의 전력 수요량을 예측하기 위해 7월 1일의 습도를 사용하는 것은 7월 1일의 불쾌지수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7월 1일의 불쾌지수는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있어 예측 당일의 평균 기온만 활용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Login Required
0 / 1000
송근구ㅡㄴ
2022.02.14 16:20

KwangnamYu님 안녕하세요, 해당 질문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데이터를 제공 받은 시점에서 내용 정리 및 게시물들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불쾌지수의 경우 온도 및 상대습도로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지를 못하고 예시를 들어드린 것 같습니다.

제공을 해드리는 데이터에서의 핵심은 실제로는 측정된 기록이지만, 이전 날짜를 기준으로 예측을 한 당일의 날짜 처럼 사용을 할 수 있게 허용을 하자 였습니다.

(예를 들어, 실제로 2018년 7월 3일에 대한 측정 기록이지만, 이를 7월 2일을 기준으로 7월 3일에 대한 예측기록이라는 점입니다.)

 

해당 예측기록처럼 사용이 가능한 데이터가 추가로 주어진 만큼, 해당 데이터 또한 활용하여서 만들어진 변수를 활용하여 공식을 구할 수 있는 경우 또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공식을 통해서 변수를 만드신 경우, 해당 설명 또한 코드에 반드시 포함이 되어야 합니다.) (ex - 습도와 온도를 통해서 불쾌지수를 구하신 경우, 해당 공식이 적혀있어야합니다.)

 

하지만 해당 데이터 와 다른 외부데이터의 결합을 통해서 나온 변수의 경우 실격사유에 해당됩니다.

KwangnamYu님이 예시를 들어주신 것에 대해서는 해당 자료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는 불쾌지수가 아닌, 다른 외부데이터 사항을 활용해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