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사 사고 예방 및 대응책 생성 : 한솔데코 시즌3 생성 AI 경진대회

규칙관련 유의사항을 보고 질문드립니다.

2025.03.21 10:38 761 Views


위 내용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최종 생성된 결과물이 언어 모델을 통해 생성 되었다는 것에 대한 정의는 어디에 가까울까요?
  2. RAG를 통해 나온 결과물에 어떠한 수정도 가해지지 않고, 주최측이 제시한 임베딩 모델을 사용하여 백터 생성 후 submission 해야한다.
  3. RAG를 통해 나온 결과물에 일부 수정은 가해도 되고, 주최측이 제시한 임베딩 모델을 사용하여 해당 텍스트의 백터 생성 후 submission 해야한다.
  4. RAG를 통해 나온 결과물에 일부 수정은 가해도 되고, 임베딩 백터는 나온 과정만 설명할 수 있으면 정당한 제출로 인정된다.


지금 코드 공유된 것에 보면 0.54 나온 소스는 먼저 백터를 찾은 다음, 그와 유사한 문장을 찾은 순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최측의 의도가 문장을 먼저 만들고, 그 문장에서 백터 임베딩을 제작하는 걸 의도하는지

아니면 그 과정이 설명만 가능하면 인정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문장에서 임베딩 제작하는게 의도이고, 그 외에 실격(규칙 위반) 이라면 , 제출시에 스코어 게시전 내부 서버에서 유효한 답지인지에 대한 검증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실격 가능성 있는 답지를 리더보드에 올릴 수 있게 되면, 대회 종료 후, 실격이라는 결과를 인정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Login Required
0 / 1000
DACON.GM
2025.03.21 16:54

1) "문장을 생성(추론)"한 후 → 그 문장에서 벡터를 만드는 것을 전제로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정답 벡터와 유사한 예측 벡터를 찾고 이 벡터와 유사한 문장을 선택해서 제출하는 것은 문장을 생성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2) 현행 시스템 상, 이러한 검증은 대회 종료 후 코드 제출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참가자가 대회 종료 후 대회 규칙에 부합하는 정상적인 생성 과정을 증명하지 못하면 사후 실격이 가능합니다.
3) 예시로 들어주신 것 중 'RAG를 통해 나온 결과물에 일부 수정은 가해도 되고, 주최측이 제시한 임베딩 모델을 사용하여 해당 텍스트의 백터 생성 후 submission 해야한다.'에 가장 가깝습니다. 즉, 생성된 Text는 언어모델로 생성된 Text가 기초가 되어야하며, 이 Text에 일부 수정(후처리)을 가하는 것은 허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