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열 예측 코드 링크 - Time Series Forecasting - 업데이트

2021.04.10 19:21 6,529 조회

시계열 데이터는 시간 순서대로 기록된 데이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가격, 기온 변화, 전력 사용량 등이 모두 시계열 데이터죠.

이런 데이터는 단순히 통계 분석만으로는 예측하기 어려워서 특별한 기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여기에 있는 자료들은 시계열 분석을 위한 이론부터 실제 코드까지 모두 다루고 있어서, 하나씩 따라가면서 공부하시면 실력이 쑥쑥 늘 겁니다.




1. 기본기를 다지는 교과서

  • 텐서플로우 코어(TensorFlow Core): https://www.tensorflow.org/tutorials/structured_data/time_series
  • 핵심: 딥러닝 기반의 시계열 분석 기초를 배우기에 가장 좋은 공식 튜토리얼입니다. 텐서플로우를 활용해 시계열 예측 모델을 만드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알려줘요. 딥러닝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 판다스 시계열 기초(Chris Albon): https://chrisalbon.com/python/data_wrangling/pandas_time_series_basics/
  • 핵심: 시계열 데이터를 다루는 데 필수적인 라이브러리인 **판다스(Pandas)**의 기초를 튼튼하게 다질 수 있습니다. 날짜별로 데이터를 정렬하거나 특정 기간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등,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기본 기술을 익힐 수 있습니다.




2. 실전 모델과 코드를 익히는 자료

  • 시계열 논문과 코드(Paper with Code): https://paperswithcode.com/task/time-series-forecasting
  • 핵심: 최신 시계열 예측 논문들과 해당 논문을 구현한 코드를 한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실제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모델과 코드를 직접 경험해보고 싶다면 이보다 좋은 자료는 없습니다.
  • 시계열 지도 학습 설명과 코드(Machine Learning Mastery): https://machinelearningmastery.com/time-series-forecasting-supervised-lear
  • 핵심: 시계열 분석을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문제로 변환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줍니다. 이론적인 설명과 함께 파이썬 코드가 잘 정리되어 있어, 개념을 바로 코드로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 전력 예측 ARIMA(KDnuggets): https://www.kdnuggets.com/2020/01/predict-electricity-consumption-time-series-analysis.html
  • 핵심: 가장 기본적인 시계열 예측 모델 중 하나인 ARIMA 모델을 실제 전력 데이터에 적용하는 예제를 보여줍니다. 전통적인 통계 모델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3. 전문가처럼 심화 학습하기

  • Hands-on Time Series Analysis with Python 책: https://github.com/Apress/hands-on-time-series-analylsis-python
  • 핵심: 시계열 분석의 모든 것을 다루는 실용적인 교과서입니다. 이론부터 코드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책 내용에 대한 코드가 깃허브에 잘 정리되어 있어, 직접 실습하기 좋습니다.
  • TadGAN: 시계열 이상 탐지 (GAN 활용): https://arxiv.org/abs/2009.07769
  • 핵심: 시계열 데이터에서 예측이 아닌 **이상(Anomaly)**을 찾아내는 기술에 관심 있다면 이 논문을 보세요. TadGAN이라는 새로운 딥러닝 모델(GAN)을 활용한 기법으로, 복잡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는 전문가적 관점을 키울 수 있습니다.
  • 코드 링크: https://analyticsindiamag.com/hands-on-guide-to-tadgan-with-python-codes/
  • 마지막으로 한마디: 논문 내용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코드 링크를 통해 실제로 모델을 구현해 볼 수 있으니 꼭 한번 시도해보세요.

이 자료들을 차근차근 공부하면 시계열 데이터 분석의 기초부터 최신 기술까지 모두 마스터할 수 있을 겁니다. 성공적인 AI 공부를 응원합니다!


4. 최신 논문 링크와 주요 내용

최근 시계열 예측 분야에서 주목받는 키워드는 Transformer 기반 모델LLM(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한 예측입니다. 기존의 통계적 방법이나 순환신경망(RNN)을 넘어서, 복잡한 패턴을 더 잘 잡아내는 모델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BasisFormer 논문 리뷰: https://aiflower.tistory.com/69
  • 내용: 기존의 Transformer 모델이 시계열 데이터의 장기적인 패턴을 잘 포착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 가능한 기저(bases)를 도입한 모델입니다. Attention 메커니즘을 활용해 시간적 패턴을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복잡한 모델이지만 시계열 예측에서 Transformer가 왜 중요한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LLM을 활용한 시계열 예측 논문 리뷰: https://www.themoonlight.io/ko/review/efficient-model-selection-for-time-series-forecasting-via-llms
  • 내용: 이 논문은 시계열 예측 모델을 선택할 때, LLM의 추론 능력을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즉,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을 프롬프트로 만들어 LLM에 입력하고, LLM이 가장 적합한 예측 모델을 추천해 주는 방식입니다. 이는 복잡한 모델을 일일이 실험해야 했던 기존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입니다.



5. 최신 논문 학습 방법

최신 논문을 효율적으로 공부하려면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가면서 학습하면 어렵지 않게 논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초록(Abstract)과 결론(Conclusion) 먼저 읽기

논문의 초록을 읽어 연구의 목적과 주요 결과를 빠르게 파악하세요. 이후 결론을 읽어 저자들이 어떤 기여를 했다고 주장하는지 확인합니다.

이 두 부분을 먼저 읽으면 논문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그림과 그래프부터 살펴보기

복잡한 수식이 나오는 본문으로 바로 들어가기보다는, 논문의 그림(Figure)과 그래프를 먼저 보세요.

특히 모델 아키텍처를 설명하는 그림은 해당 논문의 핵심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3. 참고문헌(References) 목록 확인

논문 학습의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참고문헌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논

문에서 언급하는 이전 연구들을 찾아보면 해당 논문이 기존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코드 구현체 찾기

대부분의 최신 논문은 논문과 함께 깃허브(GitHub) 저장소에 코드를 공개합니다.

직접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바꿔가며 실험해보면 이론만 읽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개념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논문 제목으로 깃허브를 검색하거나, 논문 링크 아래에 있는 코드를 확인하세요.



시계열 예측 분야는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논문과 코드를 꾸준히 찾아보면서 최신 동향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이팅! 💪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0 / 1000
두둥이
2021.04.20 09:45

감사합니다

도비콘
2021.04.20 23:43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skribblio
2025.10.06 20:05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