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시각화 대회 코드 공유 게시물은
내용 확인 후
좋아요(투표) 가능합니다.
HAI(하이)! - Hecto AI Challenge : 2025 상반기 헥토 채용 AI 경진대회
과적합 기준
이미지분류에도 train-val 간의 갭차이가 크면 과적합일수도 있다고 하는데 다른분들은 과적합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하시나요??
그렇군요.. shake up이 걱정이커서 ㅋㅋㅋ.. 과적합에 대해서 어느정도의 기준을 둬야할지 어렵네요..
오늘부터 참가한 대회라 데이터를 더 뜯어봐야겠지만, 대강 테스트 해본 결과 augmentation을 적용하지 않으면 빠르게 train data의 정확도가 1에 가까워집니다.
그래서 저는 train data가 너무 빨리 가까워지지 않는 선에서 즉, train data와 val data가 안정되기까지 걸리는 '속도'에 따라 과적합을 측정할 예정입니다.
전 earlystopping만 믿고있었는데 떨어지는 속도도 모니터링 해봐야겠군요..
데이콘(주) | 대표 김국진 | 699-81-0102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1-서울영등포-1704호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J120402025000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 익스콘벤처타워 901호
이메일 dacon@dacon.io |
전화번호: 070-4102-0545
Copyright ⓒ DACON Inc. All rights reserved
말씀하신 것처럼 Train-Validation 간에 갭이 존재하더라도, Validation loss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면 학습을 이어나가는 편입니다.
제출을 여러번 진행해보았을때 public 점수도 이를 따라오는 경향을 보았거든요,
그러나 특정 Validation loss 이하로 내려갔을때(0.05미만정도..?), Public 더 이상 개선되지 않는 모습을 최근에 발견해 저도 고민중입니다.
validation set에 대해 현재 모델이 어떤 이미지에서 낮은 confidence를 보이고 틀리는지에 분석 후에 실험해보고,, 제출해보고 하는식으로 하는중입니다..